Linux
리눅스 권한 설정 (chmod, chown, chgrp)
단미라이프
2022. 3. 4. 10:06
반응형

1. 파일 권한 확인
ls -al

2. 파일 권한 설정
-rw-r--r-- 1 root root 0 2월 24 16:20 testfile2
testfile2파일의 소유자는 root이고
권한은 소유자(읽기/쓰기)권한, 그룹(읽기)권한, 다른 사용자(읽기)권한
- | 파일표시 | - : 파일, d :폴더/디렉토리, l : 링크 |
rw- | 소유자 권한 | r : 읽기, w : 쓰기, x : 실행 |
r-- | 그룹 권한 | r : 읽기, w : 쓰기, x : 실행 |
r-- | 다른사용자 권한 | r : 읽기, w : 쓰기, x : 실행 |
1 | 링크수 | |
root | 소유자 | |
root | 소유자그룹 | |
0 | 파일크기 | |
2월 24일 16:20 | 수정한 날짜 | |
testfile2 | 파일 이름 |
- 숫자 표기법
사용자(User) | 그룹(Group) | 다른사용자(Other) | ||||||
r | w | x | r | w | x | r | w | x |
4 | 2 | 1 | 4 | 2 | 1 | 4 | 2 | 1 |
7 | 7 | 7 |
rwx = 4 + 2 + 1 = 7
rw- = 4 + 2 + 0 = 6
r-x = 4 + 0 + 1 = 5
r-- = 4 + 0 + 0 = 4
-wx = 0 + 2 + 1 = 3
-w- = 0 + 2 + 0 = 2
--x = 0 + 0 + 1 = 1
예) -rw-r--r-- : 644
예) rwxrwxrwx : 777
3. 권한변경 (chmod)
chmod [권한] [변경할 파일 또는 디렉터리]
1) 권한 부여
- g(그룹), u(사용자), o(다른 사용자), a(모두)에 권한을 부여
- (+)를 사용하여 권한을 부여
chmod g+rw testfile2 //해당 그룹에 속하는 유저에게 읽기/쓰기 권한 부여
chmod u+r testfile2 //해당 파일을 소유한 사람에게 읽기 권한 부여
chmod ugo+rwx testfile2 //소유자, 그룹, 모든 유저에게 읽기/쓰기/실행 권한 부여

2) 권한삭제
- g(그룹), u(사용자), o(다른 사용자), a(모두)에 권한을 삭제
- (-)를 사용하여 권한 제외
chmod g-rw testfile2 //해당 그룹에 속하는 유저에게 읽기/쓰기 권한 삭제
chmod u-r testfile2 //해당 파일을 소유한 사람에게 읽기 권한을 삭제
chmod ugo-rwx testfile2 //소유자, 그룹, 모든 유저에게 읽기/쓰기/실행 권한 삭제

3) 숫자로 변경
- 숫자를 활용하여 g(그룹), u(사용자), o(다른 사용자), a(모두)에 권한을 지정
chmod 777 testfile2 //사용자,그룹,다른사용자 : 읽기/쓰기/실행 권한
chmod 755 testfile2 //사융자 :읽기/쓰기/실행 권한, 그룹 : 읽기/실행 권한, 모든유저: 읽기/실행 권한
chmod 421 testfile2 //사용자 :읽기 권한 , 그룹 : 쓰기 권한, 모든유저: 실행 권한

4. 소유권 변경 (chown)
chown [소유주] [변경할 파일]
chown [소유주]:[그룹] [변경할 디렉터리]
- 소유권 확인
ls -al

1) 소유주 변경
chown [소유주] [변경할 파일]
chown yj testfile2

- R 옵션을 주면 디렉터리 안의 파일들의 소유권도 모두 변경
chown -R yj testdir_cp

2) 소유주와 그룹 변경
chown [소유주]:[그룹] [변경할 디렉터리]
chown yj:yj testfile3

- R 옵션을 주면 디렉터리 안의 파일들의 소유권도 모두 변경
chown -R yj:yj testfind

5. 그룹 변경 (chgrp)
chgrp [그룹] [변경할 파일]
chgrp yj testfile2

- R 옵션을 주면 디렉터리 안의 파일들의 사용자 그룹도 모두 변경
반응형